일본공산당 제6회 전국협의회

육전협과 동시에 개최된 일공당 33주년 기념식.

일본공산당 제6회 전국협의회(일본어: () (ほん) (きょう) (さん) (とう) (だい)6 (ろく) (かい) (ぜん) (こく) (きょう) () (かい) 니혼쿄산토다이로쿠카이젠코쿠쿄기카이[*])는 1955년 7월 27일에서 7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회의에서 일본공산당은 그전까지의 중국혁명에 영향을 받은 “농촌에서 도시를 포위”하는 식의 무장투쟁 방침의 포기를 결의했다. 약칭 육전협(일본어: (ろく) (ぜん) (きょう) 로쿠젠쿄[*]).

북경에 망명가 있던 토쿠다 큐이치 서기장이 2년 전인 1953년 사망했음이 이 육전협에서 발표되었다. 그래서 제1서기에 노사카 산조, 서기국원에 콘노 요지로・시다 시게오・미야모토 겐지가 선임되었다. 공산당은 그전까지의 산촌공작대 등 무장투쟁 노선에 종지부를 찍었다. 시가 요시오・미야모토 겐지 등 구 국제파가 이 회의에서 주도권을 탈환하지만, 구 소감파였던 노사카가 제1서기가 되고 1958년에는 당의장이 된 바, “통일”을 인상시켰다.

육전협은 “의회투쟁을 통해 폭넓은 국민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당”이 되고자 하는 하나의 계기였지만, 이 시점에서는 “농촌에서 도시를 포위”한다는 중국식 무장투쟁방침을 포기한 것일 뿐, 폭력혁명 노선 전반을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육전협에서는 무장투쟁의 계기가 된 51년 강령에 대해 “신강령이 채택되고 난 후에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과 당의 경험은 강령에 표시된 모든 규정이 완전히 옳은 일임을 실제로 증명하고 있다”고 평가했다.[1] 새 지도부하에서 새로운 강령과 명확한 노선을 확정하기까지는 육전협 이후로 몇 년이 더 걸렸다.

당시 일본공산당 소속 국회의원 및 지방의원 대부분은 폭력노선을 지지하고 폭력활동에 참여한 토쿠다파였는데도 불구하고, 폭력노선의 책임을 죽은 토쿠다 큐이치 개인에게 떠넘긴 것은 무책임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산촌공작대 등의 활동에 참여했던 학생당원들은 갑작스런 노선전환에 충격을 받아 탈당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고, 좌절감에 자살한 당원도 있었다. 일본공산당이 전후애 재개했다가 포기한 “무장투쟁” 노선을 신봉한 급진적 학생당원들은 새 지도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으로 훗날 공산주의자동맹을 결성하는 등 소위 신좌파와 과격파의 탄생으로 향하는 씨가 이 육전협에서 뿌려졌다. 따라서 무장혁명에 동참하고 전후 일본에서 폭력행위를 선동, 참여했던 다수 일본공산당 당원들에게 이후 신좌파 탄생의 책임이 있다는 전 당원들의 비판이 있다.[2]

각주

  1. 立花書房編『日本共産党用語事典』(2009年)8-10頁。
  2. 神山茂夫『日本共産党とは何であるか』自由国民社、p140-141)
  • v
  • t
  • e
일본공산당 (전후)
기관・역직
대회 - 중앙위원회(간부회 - 상임간부회 - 서기국)- 의장 - 위원장 - 서기국장
역대 지도부
당의장
노사카 산조 - 미야모토 겐지 - 후와 데쓰조 - (공석)
서기장
당위원장
미야모토 겐지 - 후와 데쓰조 - 무라카미 히로시 - 후와 데쓰조 - 시이 가즈오 - 다무라 도모코
서기국장
후와 데쓰조 - 가네코 미쓰히로 - 시이 가즈오 - 이치다 다다요시 - 야마시타 요시키 - 고이케 아키라
대회
4회 대회 - 5회 대회 - 6회 대회 - 7회 대회 - 8회 대회 - 9회 대회 - 10회 대회 - 11회 대회 - 12회 대회 - 13회 대회 - 14회 대회 - 15회 대회 - 16회 대회 - 17회 대회 - 18회 대회 - 19회 대회 - 20회 대회 - 21회 대회 - 22회 대회 - 23회 대회 - 24회 대회 - 25회 대회 - 26회 대회 - 27회 대회
강령・테제 등
22년 테제 - 27년 테제 - 32년 테제 - 51년 강령 - 종교에 대한 일본공산당의 견해와 태도 - 자유와 민주주의의 선언
역사
전후 초기
사건・투쟁 등
수상관저 데모사건 - 2·1 총파업 - 다이라 사건 - 도쿠다 요청문제 - 오쓰 지방검찰청 습격사건 - 네리마 사건 - 시라토리 사건 - 다구치 사건 - 피의 메이데이 사건 - 스고 사건 - 스이타 사건 - 히라카타 사건 - 오스 사건 - 아케보노 사건 - 요코카와 전 대의사 습격사건 - 마쓰카와 사건 - 한신 교육투쟁
분열기의 각 조직
국제파 - 소감파 - 북경기관 - 특수재정부 - 인민함대 - 산촌공작대 - 중핵자위대 - 자유일본방송 - 육전협
분열조직
일본공산당 노동자파 - 일본공산당 국제주의자단 - 공산주의노동자당 - 일본트로츠키스트연맹(혁공동) - 일공행동파 - 일공볼셰비키파 - 일공해방전선 - 사회주의혁신운동 - 통일공산동맹 - 일공 소리파(민주주의적 사회주의운동) - 프론트 - 일공마르크스・레닌주의파(노동자공산당) - 일공좌파(일본노동당)
키워드
군사방침(구근재배법 - 영양분석표)
61년 강령
확정 이후
사건・투쟁 등
산리즈카 투쟁 - 신일화견주의 사건 - 산케이신문 사건 - 일본공산당 간부택 도청사건 - 미야모토현 치택 도청사건 - 가쓰시카 정당삐라 배포사건
키워드
자주독립노선 - 사공공투 - 창공협정 - 자공공투 - 민공공투
당외 관계
현존하지 않음
대만 공산당 - 오키나와 인민당 - 아마미 공산당 - 일본인민해방연맹
가맹・참가
평화·민주·혁신의 일본을 위한 전국회 - 원수폭금지일본협의회 - 중앙사회보장추진협의회
단체측이 당의 지도성을 규정
외국당과의 관계
일중공산당 관계
기관지
신문 아카하타 - 전위 - 월간학습 - 여성의 광장 - 의회와 자치체 - 저팬 프레스 서비스 - 화보 안녕 일본공산당입니다(休) - 문화평론(休) - 적기뉴스영화(廃)
정권론 등
과학적 사회주의 - 평화혁명 - 폭력혁명 - 일본인민공화국 헌법 초안 - 2단계 혁명론 - 적의 출방론 - 민주연합정부 - 비핵의 정부 - 국민연합정부(일본어판)
주최행사
적기마츠리 - 적기명인전 - 바둑 신인왕전 - 장기 신인왕전
관련・우호단체
신일본부인회 - 전국상공단체연합회 - 농민운동전국연합회 - 일본의 노랫소리 전국협의회
그 외
민주집중제 - 사문 - 노랫소리 운동 - 독습지정문헌 - 강사자격시험 - 일본공산당 (동음이의) - JCP 서포터- 일본공산당 확산부 - 올 오키나와 - 혁신자치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