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동계 올림픽

1952년 동계 올림픽
대회제6회 동계 올림픽 경기 대회
개최국노르웨이
개최 도시오슬로
참가국30개국
참가 선수694명
(남자: 585명, 여자: 109명)
경기 종목6개 종목, 22개 세부 종목
개막식1952년 2월 14일
폐막식1952년 2월 25일
개회 선언랑힐 왕녀
선수 선서토르비에른 팔캉에르
성화 점화에이길 난센
주경기장비슬레트 스타디온
동계 올림픽
장크트모리츠 1948 코르티나담페초 1956  >

1952년 동계 올림픽(영어: 1952 Winter Olympics, VI Olympic Winter Games, 노르웨이어: Vinter-OL 1952, 뉘노르스크: Vinter-OL 1952)은 노르웨이오슬로에서 1952년 2월 14일부터 2월 25일까지 개최된 제6회 동계 올림픽이다. 사상 최초로 수도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 대회이다.

개최지 선정

1947년 6월 21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노르웨이 오슬로로 결정되었다.

개최지 투표결과
후보 도시 NOC 투표
오슬로 노르웨이 노르웨이 16
코르티나담페초 이탈리아 이탈리아 11
레이크플래시드 미국 미국 7

참가국

총 30개국이 참가하였다. 뉴질랜드, 포르투갈 2개국이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독일서독이 독일 팀을 대표하여 참가하였다. 대한민국은 1950년에 발발한 한국 전쟁으로 인해서 불참했다. 다만 같은 해에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렸던 하계 올림픽에는 참가하였다.

참가국 목록
  • 프랑스 (26)
  • 영국 (18)
  • 독일 (53)
  • 그리스 (3)
  • 헝가리 (12)
  • 아이슬란드 (11)
  • 이탈리아 (33)
  • 일본 (13)
  • 레바논 (1)
  • 네덜란드 (11)
  • 노르웨이 (73) (개최국)
  • 뉴질랜드 (3)
  • 폴란드 (30)
  • 포르투갈 (1)
  • 루마니아 (16)
  • 스위스 (55)
  • 스웨덴 (65)
  • 체코슬로바키아 (22)
  • 미국 (65)
  • 유고슬라비아 (6)

경기 일정

1952년 동계 올림픽의 공식 개막일은 2월 15일에 열렸지만 2월 14일에 일부 종목이 개최되었다. 2월 15일부터 폐막일인 2월 25일까지는 최소 1개 종목의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개회 당시에 노르웨이의 군주였던 호콘 7세는 자신의 조카였던 영국조지 6세 국왕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영국 런던으로 출국한 상태였기 때문에 개막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호콘 7세의 손녀였던 랑힐 왕녀가 자신의 할아버지를 대신하여 공식 개회 선언을 했다. 또한 모든 참가국들의 국기는 조기로 게양되었고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선수단은 조지 6세 국왕을 추모하기 위한 차원에서 검은 완장을 두르고 참가했다.

개최 종목

  • 노르딕복합
  • 봅슬레이
  • 스키점프
  • 스피드스케이팅

시범 종목

메달 집계

1952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7 3 6 16
2 미국의 기 미국 4 6 1 11
3 핀란드의 기 핀란드 3 4 2 9
4 독일의 기 독일 3 2 2 7
5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2 4 2 8
6 캐나다의 기 캐나다 1 0 1 2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1 0 1 2
8 영국의 기 영국 1 0 0 1
9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0 3 0 3
10 스웨덴의 기 스웨덴 0 0 4 4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1952년 동계 올림픽
  • IOC 1952년 동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이전 대회 1952년 동계 올림픽
오슬로 1952
다음 대회
장크트모리츠 1948 코르티나담페초 1956
  • v
  • t
  • e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회색 글씨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해 2021년에 개최됨
  • v
  • t
  • e
1952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노르딕복합
  • 밴디¹
  • 봅슬레이
  • 스키점프
  • 스피드스케이팅
  • 아이스하키
  • 알파인스키
  • 크로스컨트리
  • 피겨스케이팅
¹ 시범 종목
  • v
  • t
  • e
195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루마니아
  • 벨기에
  • 불가리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아이슬란드
  • 영국
  • 오스트리아
  • 유고슬라비아
  • 이탈리아
  • 체코슬로바키아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v
  • t
  • e
노르웨이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
국가급
종합경기대회
올림픽
패럴림픽
데플림픽
  • 1953년 동계 데플림픽
  • 1987년 동계 데플림픽
개별경기대회
동계 스포츠
  • 1923년 세계 페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24년 세계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30년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
  • 1934년 세계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52년 세계 알파인 스키 선수권 대회
  • 1952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 1954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55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 1958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 1965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1973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77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1984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86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1990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90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1992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텅 선수권 대회
  • 1995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 1995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 1995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1997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999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 2000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6년 세계 바이애슬론 선수권 대회
레슬링
  • 1981년 세계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 1985년 세계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 1987년 세계 여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 1993년 세계 여자 자유형 레슬링 선수권 대회
양궁
  • 1939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1953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 1961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사격
  • 1952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핸드볼
  • 1993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 1999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자전거
  • 1993년 세계 도로 사이클 선수권 대회
  • 1993년 세계 트랙 사이클 선수권 대회
  • 2017년 세계 도로 사이클 선수권 대회
그리스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스위스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폴란드 | 스페인 | 튀르키예 |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제
  • VIAF
국가
  • 독일
  • 미국